본문 바로가기

◆Old Man's Blue Ocean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반응형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 川端康成(천단강성) ]

요약
일본의 소설가. 갖가지 전위문학적 실험을 거듭한 끝에 전통적인 일본의 아름다움 속에서 독자적인 문학의 세계를 창조해 근대 일본문학사상 부동의 지위를 구축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출생-사망

1899.6.11 ~ 1972.4.16
국적 일본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일본 오사카[大阪]
주요수상 노벨문학상(1968)
주요작품 《설국(雪國)》(1935∼1947) 《센바즈루[千羽鶴]》(1951) 등

 

 

1899년 6월 11일 오사카[大阪]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를 사별한 것과 병약한 체질은 그의 문학에 강한 그늘을 던졌다. 제1고등학교와 도쿄대학을 졸업하였다. 1924년 요코미쓰 리이치[橫光利一] 등과 《문예시대》를 창간하여 신감각파의 유력한 일원이 되었으며, 《이즈[伊豆]의 무희(舞姬)》(1926) 등으로 작가적 지위를 확립했다. 《이즈의 무희》는 사춘기의 청순한 연정을 서정적으로 그린 초기의 대표작이다. 그후, 《수정환상(水晶幻想)》(1931), 《서정가(抒情歌)》(1932), 인생을 비정(非情)의 눈으로 응시한 《금수(禽獸)》(1933) 등 문제작을 발표했으며, 《설국(雪國)》(1935∼1947)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창작활동을 계속했다.

설국》은 비현실의 세계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순일(純一)한 미(美)의 구축에 성공했으며, 가와바타 문학의 최고봉으로 지목되는 작품이다. 《설국》은 《센바즈루[千羽鶴]》(1951) 《고도(古都)》(1962) 등 전후의 작품과 함께 1968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가와바타는 격변하는 쇼와[昭和] 시대에서 갖가지 전위문학적 실험을 거듭한 끝에, 전통적인 일본의 아름다움 속에서 자기의 감성(感性)을 닦아 독자적인 문학의 세계를 창조함으로써, 근대 일본문학사상 부동의 지위를 구축하였다. 제자인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가 자결한 뒤 얼마 되지 않아 자살하였다. 그는 1934년 최승희의 일본 데뷔 무용발표회를 보고 당대의 일본 신진 여류무용가로서 그녀를 제1인자로 꼽았으며, 전후 발표한 장편 《무희(舞姬)》에서 그녀의 예술을 다루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연보
출생 1899.6.11~ 사망 1972.4.16

1899

6월 11일 일본 오사카 출생.

1916

《교한신보》에 단편, <분쇼세카이>를 투고.

1920

동경제국대학 문학부 입학.

1926

대학 졸업 후 동료들과 동인지 《분게이지다이》를 창간, <이즈의 무희> 발표.

1931

《수정환상》 발표.

1932

《서정가》 발표.

1933

《금수》 발표.

1935

12년간의 집필 기간 끝에 《설국》 발표.

1937

설국》이 일본의 문예간담회상을 수상.

1948

일본 펜클럽 제4대 회장으로 취임.

1951

《센바즈루》 발표.

1962

《고도》 발표.

1968

일본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1972

제자인 미시마 유키오가 자결한 뒤, 4월 16일 자살.

센바즈루

[ 千羽鶴(천우학) ]

1949년부터 1951년까지 여러 잡지에 나누어 실었고, 1952년 마지막 원고를 남기고 미완인 채 《산소리》와 합쳐져서 간행되었다. 1953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전집》에 마지막호까지 실었다. 속편은 1953년부터 1954년까지 소설신조(小說新潮)에 《파센죠[波千鳥]》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1899년 오사카[大阪]에서 태어났으며 1924년 도쿄대학[東京大學校]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이즈의 무희》 《금수》 《산소리》 《명인》 《설국》 《말기의 눈》 등 명작을 많이 남겼으며, 1968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기쿠지는 죽은 아버지의 애인 치카코의 차모임에서 아버지의 또 다른 애인 오타부인과 그 딸을 만난다. 기쿠지는 오타부인과 관계를 맺고, 부인이 자살한 뒤 그녀의 딸 후미코와도 관계를 맺는데 후미코는 실종되고, 기쿠지는 처녀인 유키코와 결혼한다. 작품 속에는 다기(茶器)와 차의 세계가 배경으로 나오는데 비속화된 차문화에 대한 저자의 비판이 나타나 있다. 패전 후에 황폐해진 일본의 산과 들에 남아 있는 일본미를 찾아보려는 저자의 심상과 자세가 나타나 있는 작품으로 예술원상을 수상하였다.

 


반응형